65세 이상이라면 꼭 알아야 할 최신 복지 정책, 주요 혜택과 신청 방법은?
20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65세 이상 노인을 위한 복지 혜택이 크게 확대됩니다.
치매 조기 검진, 건강 지원금, 돌봄 서비스부터 의료비 경감, 교통비, 문화생활 지원까지
전 세대가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들이 한눈에 정리됩니다.
이 글에서는 최신 개정 내용을 중심으로 15가지 대표 혜택의 핵심 포인트,
신청 자격, 실생활 적용 방법, 유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안내드리겠습니다.
1. 치매 조기 검진 무료 지원
2025년 7월부터 65세 이상 모든 국민에게
국가 치매 조기 검진이 연 1회 무료로 제공됩니다.
관할 보건소, 지정 병원에서 신분증만 제시하면
간단한 인지검사부터 전문의 상담까지
추가 비용 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2. 노인 건강 관리비 지원금 신설
65세 이상 저소득층 노인에게 연 최대 30만원
건강관리비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병원 진료, 약국, 건강용품 등
실제 건강 관리에 필요한 비용에 사용 가능합니다.
신청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https://www.bokjiro.go.kr/ssis-tbu/
www.bokjiro.go.kr
3. 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확대
기존 노인 방문간호 서비스가
2025년 하반기부터 모든 65세 이상 가정에
연 2회 이상 제공됩니다.
전문 간호사가 직접 방문하여
건강 체크, 복약 지도, 생활습관 상담 등을 지원합니다.
4. 치매 예방 프로그램 무료 참여
전국 복지관, 평생교육시설에서
치매 예방 프로그램, 두뇌훈련,
예술치료 등 다양한 치매 예방 교육을
무료로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프로그램 정보는 복지관 홈페이지와
지자체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범위 확대
2025년 7월부터 장기요양 등급이
기존보다 완화되어, 더 많은 노인분들이
재가(방문)서비스, 주야간보호센터,
단기보호 등 장기요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가능하며,
평가 기준이 대폭 완화됩니다.
국민건강보험
www.nhis.or.kr
6. 치매·중풍 환자 가족 돌봄 지원금
치매, 중풍 등 중증 환자를 직접 돌보는
가족에게 연 120만원 내외 돌봄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가족의 돌봄 부담을 덜어주는 새로운 제도입니다.
7. 의료비 본인부담 상한제 적용 확대
노인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본인부담 상한제 적용 기준이
연 25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완화되어 혜택을 더 많은 분들이 누릴 수 있습니다.
8. 기초연금 상향, 대상자 확대
2025년 7월부터 기초연금 월 최대 40만원,
소득 하위 70%까지 수급 대상이
확대됩니다.
기존 대비 약 100만 명 이상 신규 수급자가
기초연금 혜택을 받게 됩니다.
연령 및 조건 기존 | 2024년 | (2025년 7월~) |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 월 32만원 | 월 40만원 |
수급자 수 | 약 640만 명 | 약 740만 명 |
9. 교통비·대중교통 이용 지원 확대
서울, 경기, 주요 광역시를 중심으로
65세 이상 시내버스, 지하철,
농어촌버스까지 무료 또는 50% 할인
정책이 순차 적용됩니다.
추가로 교통비 정액 바우처 제도가
확대 시행됩니다.
10. 치과·안과 진료 본인부담률 인하
임플란트, 틀니, 백내장 수술 등
노인 진료 본인부담률이 기존 30%에서
20%로 인하됩니다.
건강보험 적용 확대와 동시에
연 1회 무료 스케일링이 포함됩니다.
11. 국가 예방접종 무상 확대
독감, 폐렴구균, 대상포진 등
감염병 예방접종이 65세 이상이면
무상으로 추가 확대됩니다.
신청은 가까운 보건소 및 지정의료기관에서
가능합니다.
12. 문화·체육 활동비 지원금
문화생활 활성화를 위해
65세 이상 노인에게 연 15만원 내외
문화·체육 바우처가 신규로 지급됩니다.
연극, 영화, 박물관, 스포츠센터
다양한 분야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3. 복지관 무료 급식·식사배달 서비스 확대
독거노인 및 취약계층 대상으로
복지관 무료 급식과 식사 배달 서비스가
전국적으로 확대 운영됩니다.
이용 대상, 신청 방법은
지자체 복지과에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14. 스마트폰·IT기기 활용 교육 전면 지원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스마트폰, 태블릿, 키오스크 사용법 등
IT기기 활용 교육이 전국
복지관·주민센터에서 전면 무상 지원됩니다.
15. 재난 안전관리 및 주거환경 개선 지원
노인 가구의 재난 대비,
화재 경보기, 미끄럼 방지 매트,
노후 주택 개보수 지원까지
주거 안전환경 개선 사업이
대상자 선정 폭을 넓혀
적극 지원됩니다.
지원항목 | 2025년 7월 이후 주요 내용 |
화재경보기 | 무료 설치 지원 확대 |
미끄럼 방지 | 욕실·복도 미끄럼 방지 시공 |
주택 개보수 | 지자체 신청 시 비용 90%까지 지원 |
달라지는 노인복지, 신청 방법과 유의사항
모든 혜택은 연령 및 소득, 건강 상태에 따라
자격조건이 다르니
관할 주민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복지로 누리집에서
세부 기준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지자체마다 세부 지원 내용이
차이날 수 있으니
공식 공지사항과 안내문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129 보건복지콜센터로
문의 가능합니다.